정부3.0, 공공데이터 시대 열리나 ③

세종시, 정부3.0 도시로 조성한다
뉴스일자:2013-12-02 10:53:15

[세종시 정부청사/자료=정책브리핑DB]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의 공정률이 98%를 보이면서 2단계 부처 이전을 앞두고 있다. 중앙정부가 지방으로 이전을 하면서 공공데이터의 공유와 소통은 한층 강조될 전망이다. 지역 공간의 개념을 넘어서, 스마트 워크센터 및 영상회의 시스템 확대 구축, 행정부와 입법부 간 업무 효율화 제고방안 마련 등, 정부의 디지털 협업체계 정착의 기회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에 행복청은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3.0’ 가치를 실현하고자 행정관리담당관실을 창조행정담당관실로 개편하는 등 일부 조직을 개편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3.0’은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공유하고,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 소통·협력함으로써 투명한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앞서 6월, 행복청은  ‘정부3.0’ 추진의 일환으로 건축물 건립 및 주택분양 현황 등 각종 정보를 최대한 공개해 민간의 활용성을 증대하고 국민의 정보욕구를 충족시켜 나갈 예정을 밝혔다.


행복청의 ’정부 3.0’ 달성을 위한 협업 과제로는 △정부청사 내 공무원 업무 및 생활환경 개선(안행부) △이전공무원 조기 정착(국조실, 안행부 등)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활성화(미래부) △국립박물관단지 조성(국토부, 안행부, 문화부, 문화재청)과 민-관 합동 및 지역 협업 과제 △정책고객이 참여하는 행복도시 건설(주민, 이전공무원 등) △광역교통협의회 활성화(대전시, 충남도, 충북도, 세종시) △미래형 교육환경 조성(세종시, 세종시교육청) △세종시 중장기적 발전 방안 이행(국조실, 세종시) 등 8개 과제가 있다.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 및 범충청권과의 정례협의체, 상생발전협의회 등 운영을 통해 업무추진 과정상의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생발전 사업을 발굴·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11월 12일, 행복청이 정부3.0 실행계획의 성공적 정착과 발전을 위해 ‘정부3.0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는 세종시를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정부3.0’ 비전을 구현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함이다. 따라서 ‘행복청 정부3.0 자문위원회’는 행복청 정부3.0 추진과제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관리하고 실효성있는 과제를 추가로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문위원에는 대학 교수와 토지주택연구원 등 민간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다. 자문위원들은 행복청 정부3.0의 수요자인 시민과 이전 공무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행복청은 “국민의 관점에서 도시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전문가는 물론 민간단체와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할 것이다”라며, '앞으로 관련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ㆍ공유하고 민관 소통ㆍ협력을 보다 활성화 하는 등 '정부3.0' 정책 추진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